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 [구축 시설물 위험 제거 안전성 평가, 안전보건 안전관리자 직무, 위험물질 이상상태 계측장치 설치, 재해 사례 연구 집행 단계, 인간 기계 시스템 기본기능]

by 1life 2021. 12. 6.
반응형

구축, 시설물 위험 미리 제거를 위한 안전성 평가 실시 경우

구축 시설물 위험 미리 제거를 위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종류

구축, 시설물 위험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 인근에서 굴착 작업 등으로 침하 균열이 발생하여 붕괴 위험이 예상될 경우
  2.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에 지진, 동해, 부동 침하 등으로 균열,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
  3. 화재 등으로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내력이 저하된 경우

 

 

 

 

 

위험 물질 제조 취급 이상상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설비

위험물질 제조취급 이상상태 계측장치 설시하는 설비 종류

위험 물질을 제조 또는 취급하는 곳에서 이상상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설비는 아래와 같다

 

  1.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 정류, 증발, 추출 등 분리를 행하는 장치
  3. 반응 폭주 등 이상 화학 반응에 의해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4. 가열로 또는 가열기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조직 중 안전관리자 직무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조직중 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상 안전보건조직 중 안전관리자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

 

  1. 사업장 순회 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
  2. 위험성 평가에 관한 보좌 및 조언
  3. 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조언
  4.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 유지

 

 

 

 

 

재해 사례연구 진행 단계

재해 사례연구 진행 단계에 관한 내용

재해 사례 연구 진행 단계는 아래와 같다

 

전제 조건 : 재해 상황의 파악

1단계 : 사실의 확인

2단계 : 문제점 발견

3단계 : 근본 문제점 결정 (재해 원인 결정)

4단계 : 대책 수립

 

 

 

 

 

인간 - 기계 통합시스템 기본기능

인간 - 기계 통합 시스템의 기본 기능에 관한 내용

인간과 기계간의 통합 시스템의 기본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감지
  2. 정보보관
  3.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4. 행동

 

 

반응형